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울 대치동 학원가 설치된 가건물, 이게 뭘까요?<br> <br>강남구청이 수억 원을 들여 학생들 스트레스 풀라고 만든 해방구라는데요.<br> <br> 정말 그럴까요? <br><br>속은 다 들여다보이고 이용하기도 불편해서 찾는 학생들이 거의 없습니다. <br> <br>예산 낭비의 현장, 현장카메라 전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학생들이 학원을 향하고 있는 대치동입니다. <br> <br>인도 위에 있는 부스 눈에 띄죠. <br> <br>강남구가 학생들을 위해 설치했는데 계속 비어있기만 합니다.<br><br>현장에서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.<br> <br>학생들이 바삐 오가는 대치동 학원가. <br><br>집 모양 가건물들이 우두커니 서 있습니다. <br> <br>안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통유리로 되어있고, 바닥엔 청소년 힐링공간이라고 적혀있습니다.<br><br>강남구가 지난 4월 설치한 이른바 '스트레스 프리존'. <br><br>학원가 정비 사업이라며 다른 휴식 시설과 함께 6억 8천만 원을 들여 만들었습니다. <br> <br>5제곱미터 남짓한 부스 5개에 테이블이나 운동기구 데시벨 측정기가 놓여있습니다. <br> <br>잠시 운동도 하고, 스트레스를 풀 겸 소리를 지르라는 겁니다.<br> <br>정작 학생들 반응은 싸늘합니다. <br> <br>[김건휘 / 고등학교 2학년] <br>"왜 만들었는지 잘 모르겠고 쓰는 사람도 잘 못 봤고 이걸 쓸까 싶네요. 사람들 시선도 다 보이고 스트레스 해소가 (아니라) 스트레스가 더 쌓일 것 같은…." <br> <br>[정진우 / 고등학교 2학년] <br>"이런 것보다 그냥 노래방 하고 PC방 같은 데서 더 스트레스 해소를 잘 하는 것 같아요." <br> <br>학생들 하교 시간부터 가장 유동인구가 많을 4시간 동안 지켜봤는데요. <br> <br>에어컨도 계속 나오는데, 갖춰둔 시설이 무색하게 단 한 명도 부스를 찾지 않았습니다.<br> <br>[김지유 / 중학생 2학년] <br>"일단 스크리밍존은 방음이 좀 잘 안 되고요." <br> <br>[김휘서 / 고등학생 1학년] <br>"바깥으로 너무 잘 보여요. 사용할 때 부담스럽지 않을까 싶어서…." <br> <br>체험하고 싶어도 즉석에선 안 됩니다. <br> <br>구청에 가서 출입 스티커를 직접 받아오거나 현장에서 공무원을 기다렸다 받아야 합니다. <br> <br>[변진민 / 고등학교 1학년] <br>"빨리 가야 하는데 굳이 신청 절차까지 있는 걸 쳐다보게 되진 않는 것 같아요." <br> <br>주민들도 어이가 없다는 반응입니다.<br><br>[강남구민] <br>"아무도 없는데 왜 에어컨을 틀어놔. 애들이 이것을 이용을 한다면 모르는데 이용도 안 하고 이게 뭔 짓이야?" <br> <br>[오정훈 / 강남구민] <br>"아이들을 위해서 뭔가 해 준다는 건 고마운 일인데 더 실용적이고 좀 형식적인 거 아닌, 진짜 제대로 했으면 좋겠어요." <br> <br>강남구청은 이제서야 보완 방법을 고민해보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강남구청 관계자] <br>"안전상의 문제도 있고 학생들이 정말 개인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QR 스티커(출입증)를 발급하는 건데 운영 방법을 수정 보완해 나갈 예정입니다." <br> <br>재정자립도 전국 2위 강남구이기에 가능한 7억짜리 아이들의 해방구. <br> <br>오다가다 밖에서 구경만 하는 보여주기용 '전시행정'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전민영입니다. <br><br>PD : 장동하 윤순용 <br>AD : 석동은 <br>작가 : 전다정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